본문 바로가기
HR_노동_실무

[징계 프로세스 2] 징계는 어떠한 절차로 이루어져야 할까요?

by 아우히우 2022. 12. 18.
반응형

일반적으로 고용노동부 취업규칙상 명시된 징계절차를 구체적으로 풀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다만, 규모가 작은 기업은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. 

 

구분 소관 주요내용 등 실행(안)
1. 비위행위 확정 회사 ㅇ 징계 대상이 되는 비위행위 확정 징계사유
해당성
검토
2. 징계 사유 확정 회사 ㅇ 징계대상자에 대한 심문 자료 정리
- 확정된 비위행위에 대한 징계사유 해당여부 확인
3. 징계 관련 규정 검토 회사 ㅇ 회사의 취업규칙상 징계사유, 징계절차 등의 규정 검토
4. 징계위원회 구성 회사 ㅇ (구성) 위원장 : 대표이사 또는 대표이사가 위임하는 자
위원 : 부서장 또는 그에 준하는 직급의 사원 중에서 대표이사가 임명 (근로자위원 1명 포함),
간사 : 인사(총무)담당자
- 징계사유와 관계자 있는 자의 경우 징계의결에 관여하지 못함.

자율서식
5. 징계위원회 회부 요청 회사 ㅇ 확정된 비위사실 등의 내용을 통하여 징계위원회 회부 요청 내부품의서

6. 징계대상자 출석 통보

ㅇ (기간) 징계심의일 최소 7일 전
ㅇ (수단) 서면
ㅇ (기재사항) 회의일시, 장소, 의제 등
ㅇ 진술을 포기하거나, 서면 진술을 할 수 있도록 안내 필요

출석통지서 

7. 징계 심의

ㅇ 징계 심의 자료를 통하여 비위행위에 대한 진의 여부 확인
※ 예상질문 사전 정리 필요
ㅇ 징계대상자에게 충분한 소명기회 부여
ㅇ 간사는 징계의결 회의에 참석하여 이와 같은 과정을 의사록에 남겨 보관 필요
- 필요 시 녹음 진행 가능

의사록

예상질문
8. 징계 의결

ㅇ 징계위원들간의 거수, 투표 등을 통하여 징계 의결
- 재적 위원 3분의 2이상의 찬성
ㅇ 징계의결서에 위원 날인
ㅇ 징계의결서를 회사(대표이사)에게 송부

징계
의결서


9. 징계결과 통보 회사 ㅇ 징계결과통보서를 서면으로 징계대상자에게 전달
ㅇ 재심청구 가능 안내
※ 징계심의일 당일 또는 익일
징계결과
통보서
10. 재심 청구 심의 회사 ㅇ 징계통보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서면으로 재심 접수 시 재심 절차 진행 재심
청구서
반응형

댓글